출처: https://bumcrush.tistory.com/182 [맑음때때로 여름]
mongoosejs.com/docs/connections.html
mongoosejs.com/docs/api.html#model_Model.findByIdAndUpdate
const mongoose = require("mongoose");
const PORT = process.env.PORT || 5000;
const config = require("./config/dev");
const connect = mongoose
.connect(config.mongoURI, {
useNewUrlParser: true,
useUnifiedTopology: true,
useFindAndModify: false,
})
.then(() => console.log("MongoDB Connected..."))
.catch((err) => console.log(err));
기본적인 몽구스 connect
공식문서의 내용들
useNewUrlParser, useUnifiedTopology 이 두개는 뭔지도 모르고 써야 한다해서 써왔던 것들인데 이번에 공식 문서를 보고 왜써야하는지를 알게 되었는데, 사실상 정확히 이해했냐고 물어보면 잘 모르겠다...
useFindAndModify 이 친구를 이번에 처음 써봤다.
Post.findByIdAndUpdate 이 method를 사용하는데 자꾸만
DeprecationWarning: Mongoose: `findOneAndUpdate()` and `findOneAndDelete()` without the `useFindAndModify` option set to false are deprecated. See: https://mongoosejs.com/docs/deprecations.html#findandmodify DeprecationWarning: collection.findAndModify is deprecated. Use findOneAndUpdate, findOneAndReplace or findOneAndDelete instead.
이런 식의 오류가 뜨는 것이다. 에러의 내용을 이해해보자 다짐했건만 또 그새를 못 참고 바로 구글링 했다. 해결 방법은 다행이도 useFindAndModify 이 한줄만 추가하면 되는 단순한 이슈였다.
에러 메시지를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.
res.json과 res.send의 차이 (0) | 2020.09.06 |
---|---|
multer를 통해 upload 폴더 속에 저장한 이미지 접근하기 (0) | 2020.09.03 |
댓글 영역